Post

모두의 네트워크 정리

모두의 네트워크 정리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보고 정리한 내용이다. 챕터 별로 기억 간단히 요약해서 작성했다.

1장) 네트워크 첫걸음

  • 패킷(packet)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

  • 대역폭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이 시간당 전송량

  • 용량이 큰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데, 패킷을 원래의 데이터로 되돌리는 작업 시 전송할 때의 순서대로 수신된다는 보장이 없다. 그래서 패킷에는 번호가 붙어서 전송되어 순서를 식별할 수 있다.

  • 랜(LAN) :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 왠(WAN) :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이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KT, SKT 등)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랜과 랜을 연결하는 것

     
    범위좁다넓다
    속도빠르다느리다
    오류적다많다
  • 가정에서 하는 랜의 구성 : ISP, 인터넷 회선을 결정하고 그에 맞는 인터넷 공유기를 설치한다. 이 공유기를 중심으로 내부 인터넷망을 구성하고 다양한 기기를 무선과 유선으로 연결

  • 소규모 회사의 네트워크 구성 : 가정과 비슷하지만 DMZ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 DMZ란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다. 웹서버, DNS 서버 등이 있다.

  • 회사에서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선 서버를 1) 사내에 설치 2) 데이터 센터 3) 클라우드 3가지 방식으로 운영한다.

  • 사내에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회사 내에 서버 장비실을 두고 랙을 설치한다. 또 사내에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을 온프로메스(on-premise)라고 한다.

  • 랙 안에는 적합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서버, 라우터와 스위치를 설치.

2장)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 프로토콜 :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나 표준

  • OSI 모델 : ISO에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프로토콜

    •  이름설명
      7계층응용 계층이메일 &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
      6계층표현 계층문자 코드, 압축,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
      5계층세션 계층세션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
      4계층전송 계층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구현
      3계층네트워크 계층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를 결정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네트워크 기기 간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
      1계층물리 계층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
  • TCP/IP 모델 : OSI 모델을 4계층으로 축약

    • OSITCP/IP
      7 ~ 5 계층응용 계층
      4 계층전송 계층
      3 계층인터넷 계층
      2 ~ 1 계층네트워크 접속 계층
  • 헤더 : 데이터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

  • 캡슐화와 역캡슈화 : 계층을 거치면서 헤더를 추가, 제거하는 것

3장)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 전기신호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바이너리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필요

  •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

  • 데이터 송신 측에서 바이너리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수신 측에 전기 신호를 보냄 -> 수신 측에서 받은 전기 신호를 바이너리 데이터로 다시 변환

  • 데이터는 랜카드를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됨

  • 네트워크 전송 매체 :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 (유, 무선),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 가장 많이 사용됨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종류 : UTP 케이블, STP 케이블

    • UTP 케이블 : 구리 선 여덟 개를 두 개씩 꼬아 만든 네 쌍의 전선으로 쉴드로 보호 X
    • STP 케이블 : 두 개씩 꼬아 만든 선을 쉴드로 보호한 케이블
    • 쉴드 : 금속 호일이나 금속의 매듭과 같은 것으로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막는 역할
    • 노이즈 : 케이블에 전기 신호가 흐를 때 발생, 전기 신호의 형태가 왜곡됨
    • 케이블 끝에는 RJ-45라는 커넥터가 붙고, 컴퓨터나 공유기 등의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됨
  • 랜 케이블의 종류

    • 다이렉트 케이블 : 구리 선 여덟 개를 같은 순서로 커넥터에 연결한 케이블, 컴퓨터와 스위치를 연결할 때 사용

    • 크로스 케이블 : 구리 선 여덟 개 중 한 쪽 커넥터의 1번과 2번에 연결되는 구리선을 다른 쪽 커넥터의 3번과 6번에 연결한 케이블, 컴퓨터 간에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할 때 사용

    • 다이렉트 케이블 구조 양 쪽 컴퓨터에서 1번과 2번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데이터가 충돌 -> 크로스 케이블로 해결함

  • 리피터 : 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

  • 허브 : 여러 포트를 가진 리피터

    • 더미 허브 : 데이터 송수신 시 다른 모든 포트에 데이터를 보냄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계층

  • 이더넷 : LAN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주고 받기 위한 규칙, CSMA/CD 방식을 사용
  • CSMA/CD : 이더넷에서 장치가 매체에 접속하는 것을 관리하는 방법
    • CS :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컴퓨터가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 (사용 여부 확인)
    • MA :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고 있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내도 된다는 규칙
    • CD :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
  • 현재는 CSMA/CD는 효율이 좋지 않아 거의 사용하지 않음, 스위치의 사용으로 이더넷은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바뀜
  • MAC 주소 : 랜 카드에 있는 중복되지 않는 48bit 크기의 물리 주소, 앞 24비트에는 랜 카드 제조사의 번호가 있고, 그 뒤 24비트에는 제조사가 붙인 일련번호가 적혀있다.
  • 프레임 :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된 데이터
  • 이더넷 헤더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캡슐화되는 헤더, 14byte로 구성되어있음
    • 목적지 MAC 주소 (6byte) + 출발지 MAC 주소 (6byte) + 이더넷 유형 (2byte)
    • 이더넷 유형 : 이더넷으로 전송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의 종류를 나타냄, 16진수 번호로 이루어져 있음
  • 트레일러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 뒤에 붙는 것, FCS (Frame Check Sequence) 라고 불림, 데이터 전송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용도
  •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 스위치 내부에는 MAC 주소 테이블이 있음
  • MAC 주소 테이블 :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는 DB
    •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가 추가된 프레임이 전송되면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고 출발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MAC주소를 포트와 함께 등록한다. MAC 주소 학습 기능이라고 부른다.
    • MAC 주소 테이블에 목적지 MAC 주소가 저장되어있다면 해당 주소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만약 MAC 주소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스위치에 연결되어있는 모든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런 것을 플러딩이라고 부른다.
  • 전이중 통신 방식 :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 컴퓨터 간을 직접 랜 케이블로 연결하는 방식과 스위치에 연결할 때 사용
  • 반이중 통신 방식 :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며 통신하는 방식,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 발생, 허브에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 (허브에는 송수신이 나누어져 있지 않아 전이중으로 할 때 충돌)
  • 충돌 도메인 : 허브는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충돌이 일어난다고 했다.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는 허브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게 영향이 가는데 그 범위를 충돌 도메인이라고 한다. 하지만 스위치의 경우 충돌 도메인이 포트 하나로 좁다.

5장)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 네트워크 계층 :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계층

  • IP 헤더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 시 IP 헤더를 붙임, 출발지 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가 포함되어있다.

  • IP 주소 : ISP에게 제공 받은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위치주소, IP는 두가지 버전이 있다 -> IPv4 : 32bit, IPv6 : 64bit

    초기에는 IPv4만으로도 네트워크 주소가 충분하다고 생각했지만 인터넷이 보급화 되면서 IP 주소가 부족해졌고, IPv6가 등장하게 됨

  •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 공인 IP 주소 :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컴퓨터나 라우터에 할당, ISP가 제공

    • 사설 IP 주소 :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에 할당

    •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인 IP 주소는 라우터에만 할당하고, 랜 안에 있는 컴퓨터에는 랜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유롭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라우터의 DHCP 기능을 사용해 자동으로 할당한다.

  • IP 주소 표기 : IP 주소는 8비트단위로 나눠서 표시, 8비트는 옥텟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IP 주소는 어떤 네트워크인지 나타내는 네트워크 ID해당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 나타내는 호스트 ID로 나눠져 있다.

  • IP 주소 클래스 :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의 크기에 따라 클래스로 구분한다.

    A Class : 대규모 네트워크 주소, B Class : 중형 네트워크 주소, C Class : 소규모 네트워크 주소, D Class : 멀티캐스트 주소, E Class : 연구 및 특수용도 주소

  •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번호가 모두 0, 네트워크의 대표주소 ex) C Class의 192.168.1.0

  • 브로드캐스트 주소 : 호스트 번호가 모두 1,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나 장비 모두에게 한 번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쓰임 ex) C Class의 192.168.1.255

  • 서브넷과 서브넷팅 : A Class와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이런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서브넷팅, 분할된 네트워크를 서브넷이라고 한다.

  • 서브넷 마스크 : 세브넷팅 시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ID이고 어디까지가 호스트 ID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그럴 떄는 서브넷 마스크라는 값을 이용한다. 호스트 ID에서 일부분을 서브넷 ID로 사용한다. (/숫자의 의미는 프리픽스 표기법으로 / + 비트 수로 나타낸 것이다.)

  • 라우터 :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장비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다.

    컴퓨터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게 데이터를 보낼려면 라우터의 IP 주소를 설정해야하는데 그 출입구 역할을 하는 IP 주소를 기본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 라우팅 : 목적지 OP 주소까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것,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관리된다. 각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 라우팅이 가능하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테이블에 등록)

    라우팅은 수동으로 등록하는 방법과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

6장)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 전송 계층 :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계층

    •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
    •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
  • 연결형 통신 :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 TCP

  • 비연결형 통신 : 효율적으로 빠르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UDP

  • TCP :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 TCP로 전송 시 붙는 헤더는 TCP 헤더라고 부르고. 붙는 데이터는 세그먼트라고 부름
    • 연결현 통신인 TCP는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연결(connection)이라는 가상의 독점 통신로를 확보해야한다.
    • TCP 헤더 중 107 ~ 112 번째에 위치한 코드비트 부분은 연결의 제어 정보가 기록되는 곳이다. 연결을 확립할 때 필요한 비트가 SYN과 ACK로 각각 SYN = 연결 요청, ACK = 확인 응답을 뜻한다.
  • 3-way handshake

    1. 통신을 하기 위해 컴퓨터 2의 허가가 필요하다. 먼저 컴퓨터 1에서 컴퓨터 2로 연결 확립 허가를 받기 위한 요청 (SYN)을 보냄
    2. 컴퓨터 2는 컴퓨터 1이 보낸 요청을 받으 후 허가한다는 응답을 회신하기 위해 연결 확립 응답 (ACK)를 보냄. 동시에 컴퓨터 2도 컴퓨터 1에게 테이터 전송 허가를 받기 위해 SYN을 보냄.
    3. 컴퓨터 2의 요청을 받은 컴퓨터 1은 컴퓨터 2로 허가한다는 응답으로 ACK를 보냄.

    활성화된 SYN과 ACK는 0에서 1로 바뀐다. 이처럼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패킷 요청을 세번 교환하는 것을 3-way 핸드셰이크라고 한다.

  • 4-way handshake

    연결을 종료할 때는 연결 종료(FIN)와 ACK을 이용한다. 이 과정을 4-way handshake라고 함

  • TCP 이후 실제 데이터가 전송될 때 사용되는 것은 TCP 헤더의 일련번호(Sequence number)와 확인 응답 번호(Acknowledgement number)

    • 일련번호 : 송신 측에서 수신 측에 몇 번째 데이터인지 알려줌

    • 확인 응답 번호 : 수신 측에서 송신 측에 몇 번째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알려줌

      데이터 전송하기 전 단계에서 3-way 핸드쉐이크로 연결 수립이 이루어질 때, 통신에 사용되는 일련번호와 확인 응답 번호가 결정되고,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된 경우 데이터를 재전송하는데 이것을 재전송 제어라고 한다.

  • 위의 예제는 세그먼트(데이터) 하나를 보낼 때마다 확인 응답을 한 번 반환하는 통신이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효율이 좋지 못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소가 버퍼이다.

  • 버퍼 : 받은 세그먼트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소. 버퍼의 크기 이상으로 세그먼트가 들어올 시 오버플로가 발생하기 때문에 버퍼의 한계 크기를 알고 잘 이용해야한다. 그 크기는 TCP 헤더의 윈도우 크기에 저장되있다.

    그림과 같이 3-way handshake를 하는 동안 윈도우 크기를 확인해준다.

  • 버퍼를 이용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확인 응답 전 세그먼트를 연속해서 보낼 수 있다.

  •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인지 구분해기 위해서는 출발지 포트 번호목적지 포트 번호가 필요

  • 포트 번호 : 포트 번호는 0 ~ 65535번을 사용 가능. 그 중 0 ~ 1023번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s), 1025번 부터는 랜덤 포트로 클라이언트 측의 송신 포트로 사용된다.

    웹 브라우저로 접솔할 때 웹 브라우저에는 임의의 포트가 자동으로 할당된다.

  • UDP : 비연결형 통신, TCP와 달리 효율성을 중요하기 여기는 프로토콜. 데이터를 빠르게 보내는 것이 목적. 스트리밍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등에 사용됨

  • UDP 헤더 : 신뢰성과 정학성이 필요하지 않아 간단하다.

  • TCP vs UDP

  • 브로드캐스트 : UDP를 사용해 랜에 있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에 데이터를 일괄로 보내는 것.

    TCP는 확인 응답을 해야하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같이 불특정 다수에게 보내는 통신은 부적합

7장)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 서버

    응용 계층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서버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송 계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함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려면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함

    주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이름 해석이란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에 붙여진 이름을 기반으로 IP 주소를 알아내는 것을 말함

  • 웹사이트 구조 : WWW (web)은 HTML, URL, HTTP라는 세가지 기술을 사용

    HTML : 웹페이지에서 문장 구조나 문자를 꾸미는 태그를 사용해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이기도 함, 하이퍼텍스트로 링크나 아이콘 등에 링크를 걸어 다른 사이트로 이동 가능.

    이동한 사이트에서는 html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이 웹 서버에서 전동됨

    문서와 이미지는 별도로 요청되기 때문에 글이 먼저 보이고 이미지가 나중에 보이는 것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 HTTP :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포트를 사용해 HTTP 통신을 한다. 통상 HTTP는 TCP 소캣 통신을 한다. 예외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는 UDP 소캣 통신 사용

    클라이언트에서 HTTP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에서 HTTP 응답(response)을 반환한다.

    HTTP 버전

    • HTTP/1.0 : 요청을 보낼 때마다 연결, 연결 수립과 끊기가 많아 속도가 느림

    • HTTP/1.1 : 1.0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keepalive 기능 추가, 연결을 한 번 수립하면 교환을 마칠 때까지 유지, 데이터 교환이 끝나면 연결을 끊는 구조, 요청을 순서대로 처리한다.

    • HTTP/2 : 1.1버전은 순서대로 응답을 해 이전 요청이 길어지면 다음 요청에 대한 처리가 늦어질 수 있음. 2버전은 순서대로 응답을 반환하지 않아도 됨

    • HTTP/3 : HTTP/1과 HTTP/2가 TCP로 통신하는 것과 달리 UDP 기반의 QUIC 프로토콜을 사용

  • DNS 서버 : URL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

    IP 주소가 아닌 URL을 이용해 접속하도록 돕는 것이 DNS의 이름 해석이다.

    ex) http://www.github.com 에 접속시 DNS 서버가 웹 사이트 서버의 IP 주소를 알려준다.

    여기서 www.github.com은 도메인 이름이라고 하고, www는 호스트 이름(서버 이름)이라고 한다.

    주소에 접속하는 경우 위와 같이 작동한다.

    DNS 서버는 전 세계에 흩어져 있고 모두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 메일 서버 : 응용 계층에는 메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있다. 메일을 송신하는데 쓰는 SMTP메일 수신할 때 쓰는 POP3가 있다.

  • SMTP

    서버에 전송 후 서버 2에 전송해준다.

  • POP3

    메일 박스 : 메일을 보관해 주는 기능

8장)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 OSI 모델의 각 계층 정리

    •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
    • 전송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필요
    • 네트워크 계층 -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필요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
    •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필요
  • 네트워크 구성

  • OSI 모델로 나타낸 네트워크 구성

  • 데이터가 랜 카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흐름

  • 스위치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 웹 서버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 무선 랜의 구성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로 구성

    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과 무선 랜 어댑터가 필요

    • 무선 랜 어댑터는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와 컴퓨터 카드 방식 어댑터가 있음

    보통 무선 공유기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포함되어 무선 랜을 사용 가능

  • 무선 랜을 연결하는 방식

    • 인프라스트럭처 방식 :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

    • 애드훅 방식 :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

      주로 인프라스트럭처 방식을 사용한다

  • 무선 랜 규격 : IEEE(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에서 승인한 표준화 기술인 IEEE802.11 규격을 준수해야됨

    주로 11n 또는 11ac를 주로 사용

    무선 클라이언트와 무선 공유기의 규격이 같아야한다.

  • SSID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 연결하려면 혼선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이름

    • 네트워크 이름, 인증, 암호화, 암호화 키를 설정해야 함

    • 비컨 :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자기를 알리는 신호. 이 신호를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무선 클라이언트가 이 신호를 잡아서 연결

  • 채널 : 무선 랜은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데 그 주파수 대역을 채널이라고 부름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전파가 약해져 접속이 느려지거나 통신 속도가 느려지고 그 문제를 채널로 해결 가능

    • 무선 공유기 A와 컴퓨터 1,2가 서로 연결되려면 모두 같은 채널 각각 설정해야 됨

    • 하지만 무선 공유기끼리는 같은 채널로 설정시 전파 간섭이 생겨 통신 속도가 느려짐

    • 아래 그림과 같이 다른 채널을 사용하더라도 IEEE802.11b와 IEEE802.11g는 일부에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떄문에 간섭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최적의 채널을 자동적으로 설정해준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